어제(10일) 시행 100일을 맞은 11·3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과열됐" /> 어제(10일) 시행 100일을 맞은 11·3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과열됐"/>
[앵커]
어제(10일) 시행 100일을 맞은 11·3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과열됐던 청약 시장의 열기가 식고 집값은 한풀 꺾인 분위기입니다.
대내외적 여건 때문에 당분간 집값이 오르긴 힘들다는 전망이 많습니다.
강진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재건축이 추진되고 있는 서울 강남 지역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입니다.
지난해 10월 12억 원 선에 거래되던 전용면적 76.79㎡의 가격이 최근엔 1억 원가량 떨어졌습니다.
전매 제한과 청약 요건 강화 등 부동산 시장 안정화 방안을 담은 11·3 대책의 여파입니다.
[장재현 / 리얼투데이 리서치센터 팀장 : 11·3 대책으로 인해서 (서울 강남 지역에) 전매 제한이 걸리면서 신규 분양시장 같은 경우는 사실은 많이 어려워지고 있고요.]
하지만 규제에서 비켜 갔던 지역의 분위기는 조금 다릅니다.
특히, 부산은 투자 자금이 몰려 일부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수십 대 1의 청약 경쟁률을 보이며 '완판' 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전매 제한 지역 등을 탄력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주택법 개정을 추진하는 정부가 추가 대책을 내놓을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유력 대선 주자들 역시 1,300조 원을 넘어선 가계 부채 때문에 부동산 시장 활성화보다는 안정화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박원갑 /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 :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거래 활성화보다는 안정책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을 것 같고요. 대선 유력주자들 역시 지금 정부의 정책과 크게 다를 바는 없는 것으로 보이고….]
한꺼번에 쏟아지는 아파트 입주 물량도 집값 상승 가능성을 낮추고 있습니다.
올해 전국의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37만 가구로, 지난 1999년 이후 최대 규모입니다.
내년엔 이보다 더 많은 42만여 가구가 풀립니다.
정부가 판단하는 연평균 적정 아파트 공급 물량 27만 가구를 훌쩍 뛰어넘는 '초과 공급'입니다.
여기에다 대출 조건 강화와 미국 기준 금리 인상에 따른 시중 금리 인상, 그리고 경기 침체 등도 부동산 시장 위축 요인입니다.
전문가들은 이 때문에 실수요자들은 시장 상황을 당분간 지켜본 뒤 강화된 대출 조건 등을 충분히 고려해 '저가 매수' 기회를 노려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YTN 강진원[jinwon@ytn.co.kr]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2_20170211045939195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