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영환 / 前 북한 외교관, 홍현익 /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김광덕 / 前 한국일보 정치부장, 양욱 / 한국국방안보포럼 수석연구위원, 이종훈 / 정치평론가
[황교안 / 대통령 권한대행 : 현재의 북한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북한의 추가 도발 등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철저한 대비책을 강구해 나가야 하겠습니다. 또한 만약 김정남 피살이 북한 정권에 의해 자행된 것으로 확인된다면 이는 김정은 정권의 잔학성과 반인륜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앵커]
지금 정부는 김정남의 사망 이것이 김정은 지시라고 확실히 밝혀지는 대로 확성기를 통해서 북한에 알린다, 지금 이렇게 나오고 있거든요. 잘하는 건가요, 어떻게 보세요?
[인터뷰]
우리 정부에서는 어쨌든 이거를 아주 심각하게 대응을 하는 게 올바른 태도, 그렇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미사일 이번에 발사 도발에 이어서 바로 똑같이 어떤 계획적으로 바로 이어졌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래서 오늘 NSC 회의를 직접, 황교안 대행이 주재하는 미사일 때는 직접 주재하지 않았지 않습니까?
그렇게 했는데 저는 이런 것으로 인해서 대선 전에 보면 항상 북풍이라든가 북한 변수가 벌어지느냐가 항상 궁금했었는데 이번에는 그냥 넘어가는가 했더니 역시 두 건이 발생하지 않았습니까?
[앵커]
일반적인 북풍은 아니죠, 이게. 자기네들끼리 죽이고 하는 건데요.
[인터뷰]
그러나 이런 것들이 북풍을 누가 일부러 계획을 갖고 안 하더라도 바로 이런 것들이 북한의 추가 도발로 이어지게 될 가능성이 있고. 그렇게 되면서 이런 것들이 선거에 누구에게 득이 되든 간에 상당히 선거에 영향을 준다. 그러다 보니까 안보 분야의 보수화 현상을, 지금 보니까 오늘도 당장 달라지고 있지 않습니까? 야당도 보면 국민의당 같은 경우도 사드의 반대 당론을 재검토하겠다는 말이 나오고.
[앵커]
그러니까 이게요. 지금 대선을 얼마 안 두고 있다고 해서 그럴지는 모르지만 각 정당들의 반응은 다 비슷하죠. 그런데 확성기 방송은 어떻게 보세요? 이 박사님?
[인터뷰]
실제로 확성기 방송까지 할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그러니까 조금 전에 말씀드렸듯이 이걸 만약에 치정사건이나 예를 들어 금전적인 문제, 이런 식으로 몰고 가서 미궁에 빠질 가능성도 없지 않아 있다고 보거든요. 그러면 우리가 이걸 북측의 소행이라고 몰고...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1_20170215192419974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