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국 급랭...청문회·추경·사드 잇단 파고 / YTN

2017-11-15 0

■ 이상휘 / 세명대 교수, 배종호 / 세한대 교수

[앵커]
오늘 정국 분석합니다. 새누리당 대변인 지냈고 청와대 행정관 지낸 이상휘 세명대 교수, 언론인 출신입니다. 배종호 세한대 교수 초대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인터뷰]
안녕하세요.

[앵커]
오늘 사드 보고 누락 조사는 다 마쳤고 곧 결과 발표가 있을 모양이더군요. 문 대통령은 오늘 수석보좌관 회의에서는 이 문제에 대해서 말을 아꼈고요.

[인터뷰]
지금 상황에서 중간발표를 한다든가 또 아니면 이 사건에 대해서 중간 브리핑 내지는 그런 정보가 나온다고 그러면 사건 본질 자체가 자칫 하면 왜곡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아주 예민한 문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최종 결과에 따라서 확실한 입장을 이야기하고 거기서 매듭을 지어야 될 문제이지 중간에 이러저러한 얘기가 나오게 되면 본질과는 다른 형태로 나가기 때문에 청와대에서는 아마 그런 부분은 굉장히 신경 쓸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청와대는 지금 어떤 분위기일까요? 부담을 느끼고 있는 분위기입니까? 아니면 이 기회에 군 개혁이라든가 주도권을 잡겠다는 쪽에 더 생각이 강하다고 보십니까?

[인터뷰]
예민하게 봐야 할 부분이 있는데요. 첫 번째로 대통령이 격노했다는 부분입니다. 대통령이 화를 냈다는 것이죠. 그러면 대통령이 왜 화를 냈겠느냐. 우리가 일반적으로 상식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은 이겁니다.

그러면 한민구 장관이라든가 김관진 실장을 흔들어놓기 위해서 이 흔들어놓고 국방 개혁을 하기 위해서 화를 낸 것인가 이런 부분이 있고 그다음 두 번째로 이런 것이죠.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사드의 전략적 스탠스를 잡기 위해서 일종의 셰도모션을 하는 것이 아니냐 이렇게 해석할 수 있겠죠.

첫 번째 말씀드렸던 한민구 장관이라든지 김관진 실장을 흔들어서 국방 개혁을 하겠다 이런 부분은 굳이 대통령이 화를 내지 않아도 될 문제입니다.

왜냐 그러면 이미 한민구 장관이나 김관진 실장의 교체는 기정사실인 것이고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하기 때문에 그런 것이고 또 국방 개혁 문제도 이미 여론에 융성화돼 있습니다.

풍성하고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굳이 대통령이 이런 모션을 행하지 않아도 국방 개혁은 할 수 있다라는 점인데 그러면 두 번째 문제에서 이해가 가는 부분이 없지 않아 있죠.

그러면 한미 정상...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1_20170601150553483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