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적. 으뜸가는 적이란 뜻입니다. 우리 군은 국방백서에서 북한을 주적이라고 불렀습니다.
1994년 서울 불바다 발언에서 시작됐습니다. 정권마다 생각은 달랐습니다.
DJ 정부는 1차 남북정상회담 이후부터 이 표현을 뺐습니다.
그리고 북한의 반발 탓인지 우리는 때때로 국방백서를 만들지도 못했습니다.
노무현 정부부터 '주적'은 사라졌습니다. 대신‘'직접적 군사위협'이란 말을 썼습니다.
그러다가 MB 정부는 주적 대신 ‘우리의 적’이란 말을 썼습니다. 천안함 폭침도발이 계기가 됐습니다.
어제 밤 TV토론에서 다시 불붙은 주적 논란은 오늘 국방부 브리핑에서까지 미묘한 ‘생각 차이’를 드러냈습니다.
조아라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북한 주적 표현과 관련해 국방부에서도 혼선이 빚어졌습니다.
논란은 문상균 대변인의 기자들과의 질의응답 과정에서 불거졌습니다.
[문상균 / 국방부 대변인]
"('우리의 적이다'라는 표현이 그러면 주적과 같은 뜻으로 보고 계시는 것입니까?)네, 그렇게 이해를 하셔도 됩니다."
논란이 일자 국방부는 두 용어가 같은 개념은 아니라며 "적은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표현"이라고 정정했습니다.
실제 국방백서에는 어떻게 담겨있을까.
'주적'이란 용어는 2004년 발간된 국방백서에서부터 사라졌고, 그 이후엔 적이란 표현이 등장하지 않다가 2010년 백서부터 '주적'이 아닌 '적'이란 표현이 쓰였습니다.
때아닌 북한 주적 논란은 어젯밤 열린 대선후보 토론회가 발단이 됐습니다.
[문재인 / 민주당 대선 후보]
"그런 규정은 대통령으로서는 해야할 일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유승민 / 바른정당 대선 후보]
"대통령 되시기 전에 우리나라 대한민국 국방부 국방백서에 북한군은 우리 주적이라고 나오는데…"
토론회에서 북한 주적 질문에 즉답을 피했던 문 후보는 오늘 한발 물러섰습니다.
[문재인 / 민주당 대선 후보]
"(북한은) 군사적으로는 우리하고 대치하고 있고 위협이 되고 있는 적이 분명합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함께 평화통일을 해낼 그런 대상이기도 합니다."
주적 논란과 관련해 향후 토론회 등에서 후보들간 치열한 설전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채널A 뉴스 조아라입니다.
조아라 기자 likeit@donga.com
영상취재: 채희재
영상편집: 배시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