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선체를 보려고 목포 신항을 찾은 유가족들은 어제 노숙을 했습니다. 항만 내부 작업 참관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인데요,
정부는 뒤늦게 유가족들에게 하루 2번 출입을 허용했습니다.
박지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현장음]
"문 열어, 문 열어!"
세월호 유가족 수십 명이 목포 신항 철제문을 붙잡았습니다. 세월호 선체 앞에서 작업을 참관하게 해달라며 오열하는 유가족들.
"배 보는건 똑같이 보게 해줘야되는 거 아니냐. 왜 유가족은 사람취급도 안해주는데…"
미수습자 가족들과 달리 유가족들은 현장 참관과 신항 출입이 한때 제한됐기 때문입니다.
[정성욱 / 유가족 대표]
"(신항 안에) 잠깐 들어가서 보고 나올 수는 있어도, 상주는 안 되는 걸로 돼 있어서...숙소가 없어요."
"목포신항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는 유가족들은 울타리 바깥에 이렇게 천막을 치고 노숙을 하고 있습니다."
해양수산부는 국가 보안시설인 목포신항 출입이 제한될 수 밖에 없다는 입장.
[이철조 / 해양수산부 세월호인양추진단장]
“저희들이 적절한 절차와 방법, 형식 등을 통해서 참관을 추진해서 참관하도록 해드렸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해양수산부는 뒤늦게 인원 제한 없이 참관을 원하는 유가족에게 하루 두 번 출입하도록 협의했습니다.
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
영상취재: 김명철 홍승택 이기현 김덕룡
영상편집: 장세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