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사상 최저금리 시대에도 2천만 원도 안 되는 빚 때문에 힘들게 사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불황으로 수입이 더 줄어 원금은 물론 이자 낼 여력도 없는 저소득층이 늘고 있는데요, 특히 40대의 부담이 크다고 합니다.
권오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올해 1분기 신용회복위원회에 채무조정을 신청한 사람은 24,600여 명으로 지난 2013년 4/4분기 이후 가장 많았습니다.
지난해 3분기 2만1,900명까지 줄었던 분기별 채무조정 신청자 수가 최근 2분기 연속 오르고 있습니다.
그런데 채무조정을 신청한 사람들 대부분이 저소득층이라는데 문제가 있습니다.
1분기 기준으로 개인워크아웃 신청자 가운데 월 소득이 150만 원 이하인 경우가 73.5%를 차지했습니다.
200만~300만 원인 신청자는 7.7%였으며 300만 원을 넘는 신청자는 2.0%에 그쳤습니다.
전체 신청자의 절반 가까이(49.0%)가 2,000만원 이하의 적은 부채에도 불구하고 원금은 물론 이자도 못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대별로는 가계의 주 소득원인 30~40대 가장이 대부분이었고 40대의 부담이 두드러졌습니다.
이는 경기침체로 가계 수입이 쪼그라든 게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석 달 이상 연체하고 있는 채무자에게 이자 감면과 원금까지 조정해주고 있는 개인워크아웃 신청자들은 시중금리가 바닥까지 떨어졌지만 소득이 더 크게 줄었기 때문에 빚 갚을 여력이 없었던 것입니다.
1분기 국내 가계부채는 1,223조 7천억 원.
특히 가족 부양에 지출이 가장 많은 40대가 가계부채의 최대 뇌관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가계부채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경기 부양책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YTN 권오진[kjh0516@ytn.co.kr]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2_20160705064215708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